축사 에너지부하 자가 진단 서비스
-
1
사육 정보 입력
-
2
지역 선택
-
3
건물 정보 입력
-
4
단열 구성 입력
-
5
에너지부하 산출
-
6
프로젝트 비교진단
사육 정보 입력
에너지 부하 산출을 위한, 축종을 선택한 후 사육 두수를 입 력하세요. ‘적용‘ 버튼을 클릭해야 다음 프로세스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사육두수 ERROR
정확한 사육두수를 입력하세요.
사육두수는 숫자만 입력 가능합니다.
사육 시기 확인
선택하신 사육 시기는
{models.selectedItemText} 이 맞습니까?
지역 선택
선택된 지역
-
행정구역 선택 확인
선택하신 행정구역은 가 맞습니까?
이전 화면
축종 선택 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입력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건물 정보 입력
건물을 클릭하여, 에너지부하산정을 위한 건물정보를 입력하세요.
건물 폭 m 자동 산출
건물 길이 m 자동 산출
건물 측고 m 자동 산출
건물 동고 m 자동 산출
배치방향
건물정보입력
배치 방향 가이드

입기구조

건물 정보 확인
입력하신 데이터 값이 아래와 같습니까?
- 건물 폭 (m) 자동 산출
- 건물 길이 (m) 자동 산출
- 건물 측고 (m) 자동 산출
- 건물 동고 (m) 자동 산출
- 배치방향
- 입기구조 중천장 입기 측벽 입기
이전 화면
지역선택 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입력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사육두수 ERROR
숫자만 입력 가능합니다.
단열 구성 입력
지붕 혹은 벽체를 클릭하여, 지붕 단열 정보와 벽체 단열 정보를 입력하세요.
지붕 정보
벽체 정보
단열 정보 확인
입력하신 데이터 값이 아래와 같습니까?
-
지붕정보
(샌드위치 패널) (mm) -
벽체정보
(샌드위치패널) (mm)
이전 화면
건물 정보 입력 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입력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사육두수 ERROR
숫자만 입력 가능합니다.
에너지부하 산출
입력한 정보에 따른 에너지부하 산출 값 화면입니다. 설비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설비에 따른 냉난방 부하 값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축종 : {models.inputValueInfo.liveStockText}
사육 두수 : {models.inputValueInfo.step1Values.livestockCount | number} 수
건물 부피 : {models.inputValueInfo.buildingArea | number} m³
건물 부피 : 입기구조
건물 방향 : {models.inputValueInfo.buildingDirectionName}
벽체 패널 두께 : {models.inputValueInfo.step4Values.wallThickness} mm
지붕 패널 두께 : {models.inputValueInfo.step4Values.roofThickness} mm
사육 시기 : {models.inputValueInfo.breedingSeasonText}
-
기간 난방부하
-
기간 냉방부하
-
(단위 : GJ)
기간 난방/냉방 부하는 설정한 사육기간 동안 소요되는 총 난방/냉방 에너지 용량을 의미합니다.
• 육계의 에너지 부하 값은 병아리 입추 시기 (33℃) 부터 출하 직전 (21℃) 까지의 일령별 권장 생육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크기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양관리 권고 기준) • 환경온도와 산란율을 고려하여 20℃ (산란율 90.0%)의 생육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크기, 산란계의 경우 실제 농장의 냉난방 운영 현황과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양관리 권고 기준) • 자돈(비육돈)의 일령별 권장 생육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크기,실제 농장의 냉난방 운영 현황과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양관리 권고 기준)계산된 값을 통해 연간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을 예측할 수 있고 에너지 절감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하신 사육기간에 해당하는 에너지 부하 크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간 난방부하
{models.inputValueInfo.total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기간 냉방부하
{models.inputValueInfo.total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전체 에너지 부하 : {models.inputValueInfo.total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기간 난방부하 : {models.inputValueInfo.total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 기간 냉방부하 : {models.inputValueInfo.total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 월별 최대 난방 부하 발생시기 : 월 ({models.inputValueInfo.maximum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설정 사육기간 평균 대비 % 높음
• 월별 최대 냉방 부하 발생시기 : 월 ({models.inputValueInfo.maximum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설정 사육기간 평균 대비 % 높음
-
기간 난방부하
-
기간 냉방부하
-
(단위 : GJ)
• 봄철 (3~5월) 기간 난방/냉방 부하 : {models.inputValueInfo.month3_4_5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 {models.inputValueInfo.month3_4_5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여름철 (6~8월) 기간 난방/냉방 부하 : {models.inputValueInfo.month6_7_8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 {models.inputValueInfo.month6_7_8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가을철 (9~11월) 기간 난방/냉방 부하 : {models.inputValueInfo.month9_10_11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 {models.inputValueInfo.month9_10_11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겨울철 (12~2월) 기간 난방/냉방 부하 : {models.inputValueInfo.month12_1_2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 {models.inputValueInfo.month12_1_2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준비중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처음으로 가기
단열 구성 입력 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입력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이전 화면
단열 구성 입력 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입력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프로젝트 비교진단
입력한 정보에 따른 에너지부하 산출 값 화면입니다. 설비 종류를 선택하여 해당 설비에 따른 냉난방 부하 값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간 난방부하
-
기간 냉방부하
-
(단위 : GJ)
-
기간 난방부하
-
기간 냉방부하
-
(단위 : GJ)
비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상단 그래프 영역을 터치해 데이터를 입력하세요.
기간 난방/냉방 부하는 설정한 사육기간 동안 요구되는 총 난방/냉방 에너지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병아리 입추 시기 (33℃) 부터 출하 직전 (21℃) 까지의 일령별 권장 생육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크기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양관리 권고 기준) 환경온도와 산란율을 고려하여 20℃ (산란율 90.0%)의 생육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크기, 산란계의 경우 실제 농장의 냉난방 운영 현황과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양관리 권고 기준) 자돈(비육돈)의 일령별 권장 생육 온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크기,실제 농장의 냉난방 운영 현황과 일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사양관리 권고 기준)
기간 난방 부하
{models.total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기간 냉방 부하
{models.total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기간 난방 부하
{models.totalHeatingLoadCompare | numberWithTrailingZero} GJ
기간 냉방 부하
{models.totalCoolingLoadCompare | numberWithTrailingZero} GJ
[프로젝트 A]
• 기간 난방부하 : {models.totalHeat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 기간 냉방부하 : {models.totalCoolingLoad | numberWithTrailingZero} GJ
[프로젝트 B]
• 기간 난방부하 : {models.totalHeatingLoadCompare | numberWithTrailingZero} GJ
• 기간 냉방부하 : {models.totalCoolingLoadCompare | numberWithTrailingZero} GJ
[프로젝트별 입력 정보]
• 프로젝트 A 입력 정보
지역 : {models.originalRegionName}, 건물부피 : {models.buildingVolume | number} m³ 건물부피: 입기구조, 건물배치방향 : {models.originalDirectionText}, 지붕 단열재 두께 : {models.originalRoofValue} mm, 벽체 단열재 두께 : {models.originalWallValue} mm, 사육조건 : {models.originalSelectedBreedingSeasonText}
• 프로젝트 B 입력 정보
지역 : {models.regionName}, 건물부피 : {models.buildingVolume | number} m³ 건물부피: 입기구조, 건물배치방향 : {models.directionText}, 지붕 단열재 두께 : {models.roofValue} mm, 벽체 단열재 두께 : {models.wallValue} mm, 사육조건 : {models.selectedBreedingSeasonText}
프로젝트 B의 기간 난방부하 값은 {models.totalHeatingLoadCompare | numberWithTrailingZero} GJ로 A 조건의 기간 난방부하 값 보다 {models.totalHeatingLoadCompareDiffPercent}% {models.totalHeatingLoadCompareText},
기간 냉방부하 값은 {models.totalCoolingLoadCompare | numberWithTrailingZero} GJ로 A 조건의 기간 냉방부하 값 보다 {models.totalCoolingLoadCompareDiffPercent}% {models.totalCoolingLoadCompareText} 산출되었습니다.
[해석방법]
산출된 난방, 냉방 부하의 크기는 에너지 지출 비용과 직결됩니다.
에너지 지출 비용은 농가에 설치되는 난방, 냉방 장치의 종류와
효율, 농가의 운영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설
냉방/난방 부하 차이에 따른 에너지 지출 비용과 시설/단열 성능
개선을 위한 투입 비용에 따라 농가의 에너지 운영 계획을
수립하는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산란계 농가는 겨울철 별도의 난방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환경 온도별 산란율 변화에 따른 농가의 수익과
난방에 투입되는 농가의 에너지 지출 비용을 고려하여 농가 운영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B 데이터
프로젝트A 데이터
이전 화면
단열 구성 입력 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입력한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처음으로 가기
모든 정보를 초기화하고 축종 선택 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입력
정보는 저장되지 않습니다.